ERD 2

[메타버스 게임] 캐쥬얼 배틀로얄 프로젝트 ERD 제작, 물리 DB 구현

개요본격적인 코드 작성에 앞서 데이터를 수집 및 검증해야할 것이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 보았다. 처음엔 CRUD 트랜잭션 처리를 통해 DB검증부터 로그 수집까지 모든걸 진행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게임 내 발생하는 이벤트 동기화는 Unity Mirror을 통해 진행할 것이므로 이는 좋은 선택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게임 내부에서 발생한 로그 관련 데이터는 모두 별도의 로그 서버에서 처리하기로 했고, 나는 회원가입, 로그인 등과 같이 게임의 시작부터 로비에 진입하여 방 생성, 참가, 퇴장 및 게임 시작, 종료등과 같은 이벤트 발생 시 DB검증을 통한 클라이언트 요청 동기화를 담당하기로 했다. 관련하여 초기 엔터티의 개수는 12개였고 각 테이블간 관계도 많이 설정되었었다, 하지만 실제 검증이 필요한 ..

[AIoT] 무인 사물함 프로젝트 논리적 DB 설계, ERD 작성

개요실제 백엔드 로직을 작성하기 앞서 프로젝트 명세에 대해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주제가 정해진 이후 매일 30분 정도의 스크럼을 통해 각자 파트에서의 기능 구현에 대해 발표했다.그 중 DB의 경우 모든 파트가 만족할 만한 설계가 완료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장 오랜 시간이 걸렸다. 로그인 및 회원가입 구현 여부에 대해서도 계속 결정이 번복되었다.사용자 별 사물함 사용 횟수 및 이용 시간과 그에 따른 혜택 지급을 해주기 위해선 필요했다.하지만 회원가입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내용이 그것 뿐이라 결국 스펙에서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이 처럼 얽히고 설킨 끝없는 회의를 통해 결국 테이블 구조를 확정짓게 되었다.동작에 필요한 객체를 각 엔터티 마다 id를 PK로 사용하여 정의하였다.이후 정규화 과정을 통해 종속성이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