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 설계 2

[메타버스 게임] 캐쥬얼 배틀로얄 프로젝트 ERD 제작, 물리 DB 구현

개요본격적인 코드 작성에 앞서 데이터를 수집 및 검증해야할 것이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 보았다. 처음엔 CRUD 트랜잭션 처리를 통해 DB검증부터 로그 수집까지 모든걸 진행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게임 내 발생하는 이벤트 동기화는 Unity Mirror을 통해 진행할 것이므로 이는 좋은 선택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게임 내부에서 발생한 로그 관련 데이터는 모두 별도의 로그 서버에서 처리하기로 했고, 나는 회원가입, 로그인 등과 같이 게임의 시작부터 로비에 진입하여 방 생성, 참가, 퇴장 및 게임 시작, 종료등과 같은 이벤트 발생 시 DB검증을 통한 클라이언트 요청 동기화를 담당하기로 했다. 관련하여 초기 엔터티의 개수는 12개였고 각 테이블간 관계도 많이 설정되었었다, 하지만 실제 검증이 필요한 ..

[AIoT] 무인 사물함 프로젝트 물리적 DB 설계

개요[AIoT] 무인 사물함 프로젝트 논리적 DB 설계, ERD 작성 [AIoT] 무인 사물함 프로젝트 논리적 DB 설계, ERD 작성개요실제 백엔드 로직을 작성하기 앞서 프로젝트 명세에 대해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주제가 정해진 이후 매일 30분 정도의 스크럼을 통해 각자 파트에서의 기능 구현에 대해 발표했다.그 중 DB의zzzz955.tistory.com 위 포스팅에서 만든 논리적 DB를 기반으로 물리적 DB를 설계하였다.엔터티 정보와 관계를 토대로 AI에게 부탁하니 PostgreSQL 환경에서의 SQL문을 모두 작성해 주었다.이를 토대로 테이블 생성 및 관계 설정, 인덱스 설정까지 한번에 설계가 가능해 졌다. 세상 참 좋아졌다. 다만, AI에게 요청 시 FK를 고려하여 테이블 생성에 따른 우선순위를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