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_admin/blogs/image/category/new_ico_5.gif)
개요Model에 속하는 DTO는 Entity와 다르게 클라이언트와 소통을 할 때 사용한다.클라이언트로 전달 받은 Post요청의 RequestBody항목들을 파싱하는데도 사용하며클라이언트로 응답을 보낼 데이터를 정의하고 전달하는 용도로도 사용한다. DTO는 Entity와 달리 API가 추가 될 경우 지속적으로 추가될 가능성이 많다.DB작업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만 보낸다는 느낌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예를 들어 회원 정보 수정과 같은 내용을 생각해 보자클라이언트로 부터 받아야 할 데이터는 ID, 비밀번호, 닉네임, 이메일 등이 있을 것이다.그렇다면 클라이언트로 부터 온 Request정보를 우선 DTO로 받아준다.DB작업 이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다시 보내줄 때는 성공 여부만 리턴해 주면 될것이다.이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