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파일 관리 명령어를 학습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숙달한다.
cat
cat [파일명]
파일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ex) 터미널에 cat /proc/cpuinfo를 입력하면 cpu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내용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 > : 파일에 내용 쓰기
- >> : 파일에 내용 덮어 쓰기
- cat /proc/cpuinfo > abc
- cat /proc/meminfo >> abc
find
find [경로] -name [파일명] –type [옵션]
파일을 찾는 명령어
경로에 “/” 를 넣으면 모든 곳에서 검색 → sudo 권한 필요
- 파일만 찾기 : find [경로] –name “파일명” –type f
- 디렉토리만 찾기 : find [경로] -name “파일명” –type d
grep
grep [텍스트]
문자열 검색기능
grep kB /proc/meminfo
다른 명령어 출력결과에 문자열 검색하기
ls –al | grep test*
du
du –sh [파일명]
디렉토리 or 파일의 용량을 확인한다.
-s 옵션 = 디렉토리 개별이 아닌, 총 사용량만을 출력함
-h 옵션 = 사람이 보기 쉽게 출력된다.
-sh 옵션 = -s와 -h옵션의 합작품
file
file [파일명]
파일 종류 확인, 파일 or 디렉토리 or 실행파일 등 구분이 가능하다.
test1은 디렉토리이다.
test1내 go파일은 gcc를 통해 build된 파일이다.
which
which [명령어]
명령어의 실행 가능한 위치를 찾는다.
사용하기 위해선 설치부터 필요하다.
sudo apt install sl –y
which sl
file /usr/games/sl
디렉토리 내 존재하는 리스트를 출력하는 ls 명령어는 usr/bin/ls 경로에서 관리가 되고 있는가보다.
file을 통해 해당 경로를 참조하면 ls의 파일 정보를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
'임베디드 >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심볼릭 링크 Linux Symbolic link (0) | 2024.09.13 |
---|---|
리눅스 다양한 쉘 명령어 Linux Shell Command (0) | 2024.09.13 |
리눅스 빌드 시스템(5) Makefile 제작 Linux Makefile (0) | 2024.09.12 |
리눅스 빌드 시스템(4) make 문법 (0) | 2024.09.12 |
리눅스 빌드 시스템(3) cmake Linux Build System cmake (0) | 2024.09.12 |